한국사 정리 - 개항기(문화) (심화별개념7. 33강)
·
취업 관련 준비/한국사정리
https://youtu.be/XMRWPrNVpSc?si=bInAxP1lg6DeuHKM 글 정리 공부   개항기 문화신문부터 시작한다.신문의 변천사가 꽤 있는 편이고 시험에 잘나오는 편이라 중요하다. 순보는 10일에 1번씩, 주보는 일주일마다 1번, 일보는 매일 나오는 신문이다.최초의 신문인 한성순보가 나오는 배경은 조선책략-통리기무아문으로 이어지는 시기에 지어지는 박문국(문자를 박는 기관)과 전환국, 기기창 시절의 박문국에서 발간한 신문이다.한성순보는 우리나라 최초의 신문이다. 단 한문으로 되어있는 관보의 성격으로 개화파가 중심으로 서술하는 신문이라서 한계가 뚜렷하다. 이후 갑신정변때 개화파의 몰락으로 함께 문을 닫는다. 2. 한성주보는 한선순보를 이어나온다, 최초의 상업 광고를 개재한 것에 의미가 있..
한국사 정리 - 개항기(경제) (심화별개념7. 32강)
·
취업 관련 준비/한국사정리
https://youtu.be/XrHig3-Bf24?si=BopCqh347nGzdnEI   글 정리 공부   개항기 경제 강화도 조약이나 조-일 무역 규칙(무관세, 무항세, 무제한 곡물 유출 가능)이 이어지고, 조-일 수호조규조약(개항장에서만 무역, 일본화폐 사용)등이 체결되며 일본은 개항기 경제에 막대한 영행을 미치는데 이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자.일단 강화도 조약. 특히 강화도 조약_76년도 라인과 임오군란_82년도 라인은 완전히 다른 범위를 가진다.이는 관세와 최혜국 대우가 주로 차이가 난다. 강화도 조약까지는 관세도 X, 대신 최혜국 대우도 X, 대신 개항장내에서만 무역을 해야했고, 무제한 곡물 유출이 가능했었다. 하지만 임오군란이 발생하고 임오군란이 일어난 해에 첫 번째 82라인 조약. 조-미 수..
한국사 정리 - 개항기(국권피탈과 저항) (심화별개념7. 31강)
·
취업 관련 준비/한국사정리
https://youtu.be/DsejNnfMXS8?si=u3t_BFvJRJWdZ5yF   글 정리 공부   국권피탈과 저항강화도 조약부터 시작되서 경술국치까지 구한말이라 부른다. 이 강화도 조약(76)으로 문을 열고 개화파가 통리기무아문 중심 개화 정책을 피던 중. (이하 복습)여기에 불만을 품은 기존 군인들(5군영-2영)이 들고 일어나 임오군란이 발생한다. 이는 청에 의해 정지당하고 이후 청의 간섭이 더 커진다. 이 청의 간섭에 들고 일어난 급진개화파 김옥균, 서재필, 김홍집이 갑신정변을 일으킨다. 빠르게 개항하자는 급진개화파가 일으켰지만 3일 천하로 끝나고 일본군도 피해를 입으며 끝이난다. 이때 청과 일이 동시에 물러나며 텐진조약을 맺음. 일단 양국 군대가 물러남.이후 이러한 청의 간섭과 기존 수탈..
한국사 정리 - 개항기(동학 농민 운동~대한 제국) (심화별개념7. 30강)
·
취업 관련 준비/한국사정리
https://youtu.be/eMhis877zWU?si=sc7zCBqXdUqnU9wp  글 정리 공부   개항기 갑신정변 이후 국내외 정세의 변환현재 80년대!동학농민운동의 전개 갑신정변이 실패하며 청나라의 내정간섭이 너무 심해져서 조선 정부도 부담을 느끼고 이 내정간섭을 줄이기 위해 러시아를 불러들이게 됨. 그러나 러시아가 들어오니 영국도 같이 들어오게 됨. 이때 저지른 일이 “거문도 불법 점령” 러시아 배가 중국으로 들어갈 수 있는 통로를 막아버림. 이 거문도 불법 점령을 전후로 “어디에도 기대지 말자”는 중립파론이 등장함. 대표자는 “유길준 서유건문>” “부들러”가 있었다. 이 중립파론이 시험에 잘나온다. 이 거문도 불법 점령은 “갑신정변 직후”이다.일본은 이때 청나라에게 패배는 하였지만, 쌀과 ..
한국사 정리 - 조선 후기의 문화와 흥선대원군 (심화별개념7. 26, 27, 28강)
·
취업 관련 준비/한국사정리
https://youtu.be/yrAcQnWb2sA?si=3_8tUjH0KSzMWhCPhttps://youtu.be/VqlbxJuE-AU?si=ffwSCprYRwO6UGK2 글 정리 공부   조선의 문화성리학은 기본적으로 자기 분수에 맞게 살자는 의미. 하지만 신분제가 무너지는 중이다. 이는 성리학적 질서 속에서 이해가 불가되기에 다른 학문들이 떠오르기 시작한다. 물론 이전에 성리학이 맞지 않다보니 성리학을 비한하는 사문난적들이 등장하기도 했다. 대표적인 인물들이 윤휴(대표적인 남인 계열_예송논쟁과 경신환국때 등장하고 환국때 사망). 박세당(서인)_사변록과 색경등 작성. 이 있었다.그런데 성리학을 대체하기 위한 “양명학” (신천, 지행합일)이 등장하기도 한다. 이는 사물의 본질을 아는 방법을 보고 확인하..
한국사 정리 - 조선 후기의 경제, 사회 (심화별개념7. 24, 25강)
·
취업 관련 준비/한국사정리
https://youtu.be/D4skRvp2HAo?si=_5qLDcRsXheJEy98https://youtu.be/Ww-IwIX_bJ0?si=lysu8gTsJVgCTgBv 글 정리 공부   조선 후기의 수취체제 (세금체계)여기서 말하는 세금 체계(과전법)는 백성들이 어떻게 얼마나 내는지를 중심으로 공부하며, 임진왜란 시점으로 많이 바뀌게 된다. 일단 수취체제는 조세(세금), 공납(특산품), 역(노동력)으로 3종류가 있다. - 조세 (1결 30두_축구장 정도에서 한 가마니정도) 낸다고 하는데 세종 때 좀더 세분화를 시키기 시작한다. (전분 6등법, 연분 9등법_최소 1결 4두에서 최대 20두까지_전체적으로 감소) 그런데 양안(1592)을 거치면서 인조(1결 4~6두_영정법)때 바뀌게 된다.- 공납은 특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