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youtu.be/XMRWPrNVpSc?si=bInAxP1lg6DeuHKM
글 정리 공부
개항기 문화
신문부터 시작한다.
신문의 변천사가 꽤 있는 편이고 시험에 잘나오는 편이라 중요하다.
순보는 10일에 1번씩, 주보는 일주일마다 1번, 일보는 매일 나오는 신문이다.
최초의 신문인 한성순보가 나오는 배경은 조선책략-통리기무아문으로 이어지는 시기에 지어지는 박문국(문자를 박는 기관)과 전환국, 기기창 시절의 박문국에서 발간한 신문이다.
한성순보는 우리나라 최초의 신문이다. 단 한문으로 되어있는 관보의 성격으로 개화파가 중심으로 서술하는 신문이라서 한계가 뚜렷하다. 이후 갑신정변때 개화파의 몰락으로 함께 문을 닫는다.
2. 한성주보는 한선순보를 이어나온다, 최초의 상업 광고를 개재한 것에 의미가 있다.
3. 독립신문은 최초의 민간신문으로 특히 영자(영어)로도 작성된 신문이다 이는 서재필 중심이다.
4. 제국신문과 황성신문, 제와 황이 나오는 것은 황제, 즉 대한제국 선포때 만들어진 신문이다. 황성신문은 유생들을 독자로 하여 한자를 중심으로 서술하였고 이곳에 ‘장지연’의 시일야방성대곡이 실렸다. (을사늑약 비판). 또한 제국신문은 순한글 신문으로 서민층을 독자로 한 신문이다.
5. 대한매일신보는 1900년대의 신문으로 가장 중요한 신문이다.
특히 있는 그대로를 전달할 수 있는 몇 안되는 신문이었는데, 이는 베델(영국인)이 외국인이라 치외법권 적용이 되어 일본을 비판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그래서 비판이 가능했다. 또한 의병호의, 독자층 확대가 이루어지고 차후에는 국채보상운동의 확대에 큰 영향을 미친다.
일본은 여기에 꼴받아서 신문지법을 만들고 검열, 감시를 시작한다.
의술 분야
의술은 하나이다. 갑신정변때 다친 민씨 가족을 살린 알렌이 요구한 ‘광혜원’과 이것을 이은 제중원이 끝이다.
기술 분야
기술은 아까 말한 통리기무아문_박문국, 전환국, 기기창의 시절에 기기창이 중심으로 발전한다. 이 기기창은 청나라(영선사)에 가서 기술을 배워오려 했으나 돈이 부족하여 일찍 돌아오게 된다.
이후 85년에 전신이 설치된다. (갑신정변_84 이후 정보의 속도를 위한 설치)
87년에는 경복궁에 전등이, 98년에는 이것들을 활용하기 위한 전화와 한성 전기 회사가 설치되고, 99년에는 전차와 경인선(99)이 최초로 개통된다. 이후 경부선(05), 경의선(06)이 개통되는 데, 이 경부선과 경의선은 러-일 전쟁에서 사용하기 위해 개통된 것이다. 그러니 경인선은 러-일 전쟁을 위해 개통된 것이 아니다.
학교
학교는 90년대 이전, 이후로 갈린다. 특히 개항기때는 원산학사가 최초의 근대 학교로 학문과 무술을 동시에 가르쳤다.
또하 공교육으로는 동문학이 외국어 위주로 가르치기도 했다.
갑신정변을 기점으로 원산학사에 선교사들이 많이 들어오고,
선교사들이 따로 배재 학당(아펜젤러), 이화 학당(스크랜턴)이 지어졌다.
또한 공교육도 갑신정변을 기준으로 육영공원이 세워진다. 육영공원에서는 헤이그특사도 같이 갔던 헐버트, 길모어가 교육을 맡았다. 이후 동학농민운동 - 2차 갑오개혁이 진행되며 교육입국조서가 발행된다. 이것을 기준으로 이전학교와 또 다른 차이가 많다. 특히 교육입국조서에는 근대식 학교 시스템 (소학교, 사범학교, 외국어학교, 중학교)가 포함되어 있다.
사립학교에서는 1900년대 이후 민족지도자들이 학교를 세운다.
오산학교(이승훈), 대성학교(안창호)가 대표적이다.
러-일 전쟁과정에서 학생들을 가르치는 과정의 중요성이 강조된다.
이때 학생들은 애국계몽 교육을 받는데, 국어, 역사, 종교가 있었다.
국어는 국문연구소의 학부(교육부)의 주시경 선생(한글의 공식화)과 종두법의 지석명선생이.
신소설에는 ‘은세계’를 지은 원각사, ‘금수회의록’을 적은 최남선
신체시로는 ‘해에게서 소년에게’를 쓴 최남선
역사는 위인전과 각국의 흥망사를 중심으로 쓰여졌는데, 신채호가 위인전과 <독사신론>을 작성한다.
종교는 천도교(동학)의 주간지가 만세보라는 이름이었으며, 대종교(나찰)_단군을 믿는 종교, 유교로는 박응식의 ‘유교구신론’이 양명학(성리학 비판)의 기초가 된다. 불교로는 한용운의 ‘불교유신론’이 있었다.
천주교는 박해를 받다가 조-프 조약 이후 포교가 시작된다.
'취업 관련 준비 > 한국사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사 정리 - 일제강점기(20년대 저항) (심화별개념7. 36강) (0) | 2025.03.21 |
---|---|
한국사 정리 - 일제 강점기(식민통치와 10년대 저항) (심화별개념7. 34, 35강) (0) | 2025.03.20 |
한국사 정리 - 개항기(경제) (심화별개념7. 32강) (0) | 2025.03.17 |
한국사 정리 - 개항기(국권피탈과 저항) (심화별개념7. 31강) (0) | 2025.03.16 |
한국사 정리 - 개항기(동학 농민 운동~대한 제국) (심화별개념7. 30강) (2) | 2025.03.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