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ggle Mechanism은 번역하면 배력 기구라고 합니다. 워낙에 유명한 것을 알고도 있고, 검색을 해보니 기계분야 공무원직 분들이 간단히 정리한 글들이 많아서 저도 추가로 알게 된 내용들이 많습니다.
배력장치는 힘을 배로 늘리게 해주기 때문에 '가해지는 힘을 증가시키다(倍力)' 의미 그대로 배력장치라고 부릅니다. 작은 힘을 큰 힘으로 증폭하고자 할 때 사용하는 것이지요.


일반적으로 위와 같은 형태의 기구를 배력 기구라고 하며, 형태를 바꿈에 따라 다양한 응용이 가능합니다.



대표적인 그림에서 보듯 F와 P의 관계는 식과 같이 그려지며 α각이 0에 가까워질 때 F힘이 급속도로 강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밑의 두 링크가 직선이 될 수록 힘이 강해진다는 의미입니다.
이런 원리를 이용하고 응용해서 여러 구조를 재제작할 수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펀치 프레스, 클램프, 리벳 머신, 돌 분쇄기 등에 사용되고 있습니다.
예시 1) 토글 클램프

예시 2) 펀칭 머신
www.youtube.com/watch?v=resDZbBr7eE
이런 보이는 예시 외에도 랜딩기어, 절단기, 커터 등 너무나도 많은 예시들이 많습니다.
여러분들도 더 알아보시면 재미있는 배력기구가 많으리라 생각됩니다.
오늘은 배력기구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생각보다 기구학이 더 재미있습니다. 그만큼 쉬운 것만 보고 있긴 하지만 사놓은 기구학 개론 책이 정말 도움이 되는 것 같아 뿌듯하긴 합니다. 추가로 배력 기구라는 것은 이런 toggle mechanism 뿐 아니라 공압 배력 기구같이 힘을 배가 시키는 장치는 모두 배력 기구라고 하니 그 의미와 쓸모에 있어 정확한 파악과 구분이 있으면 좋을 듯하네요.
더 많은 배움들은 천천히 이루어 나가겠습니다.
부족한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출처: https://article2.tistory.com/1421 [백과사전]
"기구학개론 기초에서 응용까지 장승호 저"
'Study! > Mechanism' 카테고리의 다른 글
Hoberman mechanism, link - 호버만 메커니즘, 링크 (0) | 2021.03.21 |
---|---|
Governer (Centrifugal Governer) - 원심 조속기, 조속기 (0) | 2021.03.11 |
Multiple Gearing, Scott-russell Mechanism - 멀티플 기어링, 스콧-러셀 메커니즘 (0) | 2021.02.13 |
Geneva Drive / Mechanism / Wheel - 제네바 드라이브 / 메커니즘 / 휠 (0) | 2021.02.12 |
Scotch yoke Mechanism - 스카치 요크 장치와 더블 슬라이더 크랭크 기구 + 수정 (0) | 2021.02.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