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이 장치를 좀 더 발전시키기 위해 했던 시도들을 한 번 죽 적어보려고 합니다. 사실 실패했지만 기록의 의도로 작성을 해보려고 합니다.
이번 추가 장치는 사실 저번 총굴백과같은 메커니즘으로 하려고 했습니다.
하지만 저번과 다른 점은 이번에는 아두이노 NANO가 들어간다는 점이었습니다.
사실 회로도를 짠 시점에서 이것이 안될꺼라는 생각을 거의 안하고 있었기에 '빨리 만들어서 테스트해봐야지' 라는 생각으로 안일하게 조금 미루고 있었습니다. 다른 것들도 할 게 많았어서 더 그랬던 것 같아요....
하지만 실제로 작업해보니,, 또 다르더군요
분명히 똑같이 연결했는데??? 왜>????? 안되는 거지???? 그리고 저번과 같은 코딩을 했는데도 안되었습니다. RC522는 정상작동하는 걸로 봐서는 DFPlayer가 문제인 것 같습니다. tx, rx연결이 이상하거나 외부 전원을 연결할 때 맛이 가려는 것으로만 확인이 되어서 답답하네요.
그것과 별개로 수익이 있기는 했습니다. 이번에는 저번처럼 카드형 RFID코드가 아니라, 가격이 싸고 아무대나 붙일 수 있는 원형 NFC스티커 라벨을 사용했는데, 이것이 RC522에서 정상작동하는 것이 확인되었습니다.
본래는 이러한 원형 NFC스티커 라벨을 사용하면, 스티커의 Hex 값을 알아내기위해 "ReadAndWrite" 예제에서 RC522에 가져다 대었을 때, 제 예제에서 "MIFARE Ultralight or MIFARE Ultralight+! " "This sample only works with MIFARE Classic cards." 이러면서 사용이 불가했습니다.
그래서 저는 이유를 코드에서 찾아보았습니다.
해당 코드가 승인하는 PICC_TYPE_MIFARE_MINI, 1K, 4K 만을 허용한다는 의미입니다. 그래서 코드를 찾다보니 우리 스티커의 버젼인 Ultralight가 어느 코드인지 알아낼 수 있었습니다.
그래서 코드를 살짝 수정했습니다.
그러니 이제는 hex 값을 주더군요.
그런데 나노에서 안ㄷ되면 무슨 상관인가 ㅠㅜㅠㅜㅠㅠㅜㅠㅠㅜㅠㅠㅜ
아무튼 이렇게 되었습니다. 일단 디자인을 개선시킨 돌을 현재 출력 중이고 더 빠르게 서페이서질도 하고 색도 칠해야 되겠죠?? 노력해봅시다.